728x90
반응형
1.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 및 정의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개인의 PC가 아닌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클라우드 사업자(또는 클라우드 제공자)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컴퓨팅 기술
- IT리소스(IT resource)를 소유하는 것이 아닌 렌탈 서비스의 형태로 이용하는 모델
- 전문 기관이 정의한 클라우드 컴퓨팅
- Gartner 曰: 확장 가능하고 탄력적인 IT 기능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외부 고객들에게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방식
- NIST 曰: 컴퓨팅 리소스에 언제 어디서나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델
✅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
- 확장성과 유연성 : 사용자가 서비스에 따라, 혹은 시간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탄력적으로 확대/축소 가능
- 즉시성과 가용성 :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자원의 양을 즉시 충족, 공급 중심이 아닌 수요가 모든 것을 결정
- Pay as you go : 사용하는 만큼 비용을 지불
2.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 배경
🔸컴퓨팅 기술의 발전 과정
- 1980's 메인프레임
- 단말기는 주로 특별한 기능 없이 메인프레임에서 처리한 결과를 저장하고 그것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일을 함
- 단말기(터미널) : 미약한 CPU와 네트워크 기능, 입력장치로 이루어진 기능이 거의 없다시피한 컴퓨터
- 메인프레임: 중앙 처리 장치(중앙 서버)
- 1990's 클라이언트-서버
- 터미널에 들어가는 부품들의 성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터미널 자체가 하나의 컴퓨팅 기능을 하게 됨 => PC의 대중화 => 클라이언트 => CS모델 보편화
- 2000's 그리드 컴퓨팅
- 하나의 슈퍼 컴퓨터를 위해서 그 아래에 여러 PC와 메인프레임, 모바일 장치들을 한데로 묶어서 사용
- 여러 대의 작은 성능의 컴퓨터를 모아서 하나의 대규모 컴퓨터 자원을 만듬
- 2010's 클라우드 컴퓨팅
- 유틸리티 컴퓨팅의 대중화
- 새로운 컴퓨팅 환경
- 데이터와 프로그램들이 개인의 PC가 아닌 인터넷 기반의 클라우드에서 처리
- 예) iCloud, 구글 드라이브, AWS ...
- 사용자는 PC,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통해 클라우드에 원격 접속
- 필요 서비스를 즉시 받을 수 있는 컴퓨팅 환경
- 데이터와 프로그램들이 개인의 PC가 아닌 인터넷 기반의 클라우드에서 처리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역사
✅ 프로비저닝(provisioning)
- IT 리소스를 실시간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또는 규격품 형태로 패키징 하는 기술
- 쉽게 말해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들을 섞어서 하나의 형태로 만들어 제공하는 패키징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의 보급 원인
① 서버의 유휴 리소스 활용을 통한 효율성 향상
- 개별 서버의 리소스 사용률은 평균 10~15% => 비용 절감 압박
- (기업에서 1억을 들여 IT환경을 구축했는데 실제로 사용되는 IT 리소스는 천만원어치 정도..)
- 해결 방안: 사용하지 않는 컴퓨팅 리소스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률을 70%까지 향상
② H/W 및 S/W 기술의 발전
- CPU, RAM, 저장장치의 H/W적 발전
- 가상화 기술, 분산 처리 기술의 S/W적 발전
- 규모의 경제로 인한 대용량 자원을 보유 및 운용할수록 비용절감 효과
③ 개인 및 기업 사용자 모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받아들이는 환경 조성
- 클라우드 컴퓨팅은 리소스 이용률 향상, 비용 절감, 유연한 IT 서비스가 요구되는 시장의 변화로 대중화
728x90
반응형
'KNOU > 클라우드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컴퓨팅] 2.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1) | 2022.09.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