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U/UNIX시스템

[UNIX 시스템] 2. 리눅스 설치

워터파슬리 2022. 9. 11. 02:30
728x90
반응형

1. 리눅스 실습 환경의 준비

 

  •  CentOS
    • RHEL의 소스코드를 이용해 만들어진 무료 배포판
    • 상용 RHEL과 호환되나 운영상의 문제가 생길 때 스스로 해결해야 함
    • 웹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서버용 컴퓨터에 널리 사용됨

 

✅ CenstOS 설치 방법

1. 하드디스크의 비어있는 파티션에 설치

  • 기존 운영체제에서 사용하지 않는 파티션이 있는지 확인(리눅스용 파티션을 준비하는 것)
  • 리눅스 설치 공간은 기존의 운영 체제공간과 구분됨
  • 부팅 시 윈도우와 리눅스 중 선택할 수 있음(멀티 부팅)

 

2. 가상머신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설치 

(교수님 피셜 virtual box가 버전 업그레이드 되면서 문제가 좀 있어서 Vmware 추천)

  • 가상머신 소프트웨어 설치 후 가상머신에 리눅스 설치
  • 게스트 운영체제로 설치됨 <-> 물리적 컴퓨터 운영체제: 호스트 운영체제

 

⭐ VMware에 CentOS 7 설치하기

https://dev-waterparsley.tistory.com/52

 

[가상머신] VMware에 CentOS 설치하기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컴퓨터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 한 대의 물리적 컴퓨터에 가상 컴퓨터 공간을 만들어서 그곳에 새로운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소프트웨어 물리

dev-waterparsley.tistory.com

 

 

 

 

2. 저장 장치와 이름과 표준 디렉터리

 

✅ 파티션

  •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나눈 구역(디스크에서 고정 크기의 영역)
  • 디스크 전체가 하나의 파티션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분할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음
  • 파티션 별로 파일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음
    • 윈도우에서는 각 파티션마다 각각의 드라이브로 지정, 루트 디렉터리가 1개 이상 → C:\, D:\
    • 리눅스는 오직 1개의 루트 디렉터리(/)만 가짐 ← 루트 파일 시스템의 특정 디렉터리에 다른 파티션들이 부착되는 형태
      • 저장 장치를 사용하려면 해당 저장 장치 이름을 파일 시스템의 특정 디렉터리에 마운트시켜야 함 
      • 예) 장치 이름/dev/sdb1를 /home에 부착
  • 리눅스는 하드디스크나 주변 장치를 파일로 취급함

 

 

 

🔸장치 이름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 장치 또는 파티션의 이름
    • IDE 디스크: 이름에 'hd'를 붙임 → /dev/hda, /dev/hdb, ... *물리적인 하드디스크가 추가될 때 알파벳 순서대로 붙임
    • SCSI 디스크: 이름에 'sd'를 붙임 → /dev/sda, /dev/sdb, ...
    • 파티션 번호는 숫자를 1부터 순서대로 붙임 → /dev/hda1, /dev/hdb2, ...
    • CD/DVD → /dev/sr0, dev/sr1, ...

 

 

 

✅ 리눅스 표준 디렉터리

/ 루트 디렉터리 - 파일 시스템의 바탕을 이루는 중요 디렉터리
-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최상위 디렉터리
/bin
/sbin
바이너리 디렉터리 - 기본적인 명령 실행 파일 포함(/bin)
-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명령 실행 파일 포함(/sbin)
/boot 부트 디렉터리 - 커널 이미지(vmlinuz)와 *부트 로더 설정 파일 포함

*부트 로더: 리눅스가 부팅될 때 커널 이미지를 메모리상에 로드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때 사용되는게 부트 로더
/dev 디바이스 디렉터리 - 장치를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 파일'이 위치함
/etc 시스템 설정 파일 디렉터리 - 시스템의 중요한 환경 설정 파일 위치

🔸환경 설정 파일
1. 부팅할 때 실행되는 초기화 스크립트
2. 메일 서버나 웹 서버 같은 프로그램 설정 파일
3. 사용자 계정 정보를 가지는 패스워드 파일
4. 리눅스 부팅 시 어떤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될 것인지에 대한 파일 시스템 목록 파일...
/home 사용자 계정 디렉터리 -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가 만들어지는 디렉터리
예: /home/kdhong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는 해당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공간
/lib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터리 -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시스템 라이브러리 파일이 위치함
/media 미디어 디렉터리 - 이동식 저장 장치가 마운트될 때 마운트 지점을 제공하는 디렉터리
/proc 시스템 정보 디렉터리 - 커널이 사용하는 가상의 파일 시스템
- 실제 하드 디스크 공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에 위치
/root 루트 계정 디렉터리 - root 계정의 홈 디렉터리
/usr 사용자 디렉터리 - /usr/bin, /usr/sbin : 여러 가지 실행 파일
- /usr/include : C프로그램 컴파일에 필요한 중요한 라이브러리 헤더 파일 (예: stdio.h)
- /usr/lib : 실행 파일을 위한 사용자 라이브러리
/var 가변 자료 저장 디렉터리 - 시스템 운영 중에 필요한 가변 자료가 저장되는 디렉터리
- 시스템 작동 로그, 인쇄, 메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