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U/자료구조
[자료구조] 1. 자료구조의 개념
워터파슬리
2022. 11. 4. 00:16
728x90
반응형
1. 자료와 정보 사이의 관계
✅ 자료
-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서 수집된 값이나 사실
- 우리의 생활에서 실제로 만질 수 있거나 볼 수 있거나 하는 것(길이, 무게, 부피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대상)에 대해서 물리적인 단위로 표현
✅ 정보
- 어떤 상황에 대해서 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지식으로서 자료의 유효한 해설이나 자료 상호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내용
- 어떠한 상황에 적절한 결정이나 판단에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되거나 분류되기 위해 '처리 과정'을 거쳐서 정리되고 정돈된 '자료'의 2차 처리 결과물
2. 추상화의 개념
✅ 추상화
- 공통적인 개념을 이용하여 같은 종류의 다양한 객체를 정의하는 것
- 추상화를 통해 간결하게 말하는 사람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
- 자료의 공통된 것들을 추출해서 하나의 의사전달 집합으로 결정한 것이 추상화!
✅ 자료의 추상화
- 다양한 객체를 컴퓨터에서 표현하고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의 구조에 대해서 공통의 특징만을 뽑아 정의한 것
- 자료의 추상화에는 컴퓨터 내부의 이진수 표현 방법, 저장 위치 등은 포함되지 않고 단순하게 개발자의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개념화하는 것
3. 자료구조의 개념
✅ 자료구조
- 추상화를 통해 알고리즘에서 사용할 자료의 논리적 관계를 구조화한 것
- 자료의 추상화와 구조화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면 소프트웨어는 비효율적으로 수행되거나 소프트웨어의 확장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관계
- 자료구조: 입력 자료에 대한 추상화된 상태
- 알고리즘: 컴퓨터가 수행해야 할 명령의 추상화
→ 입력값을 머릿속에서 추상화된 형태(자료구로)로 구조화하고, 수행되어야 할 명령어를 머릿속에서 추상화된 형태(알고리즘)로 체계화
4.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관계
✅ 알고리즘
-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는 명령어의 연속된 덩어리
-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의 유한 집합이 사람의 머릿속에 추상화되어 존재하는 것
- 사람(개발자)이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기 위해서 사람의 의도와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언어/글)
🔸알고리즘의 조건
- 출력
- 유효성
- 입력
- 명확성
- 유한성
5. 알고리즘 성능의 분석과 측정
✅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 실행시간 분석
-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예측 실행시간을 추정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
- 실행 시간의 예측
- 알고리즘의 실행 횟수를 O(n)이라고 표현
- 같은 O(n)을 가진다는 것은 실행 시간이 동일한 것이 아니라 실행 시간의 증가 경향이 유사하다는 의미
- 실행 메모리 분석
-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공간(메모리)을 추정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함
- 실행 메모리 예측(1)
- 알고리즘의 공간 복잡도(space complexity)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완료하는데 필요한 총 메모리 공간
- 고정 공간: 프로그램의 크기나 입출력 횟수에 관계없이 컴파일 시에 결정되어 프로그램의 실행이 끝날 때까지 고정적으로 필요한 메모리 공간
- 실행 메모리 예측(2)
- 가변 공간: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동적으로 할당되어야 하는 자료 구조와 변수들을 위해 필요한 메인 메모리 공간
- Sp = Sc + Se (공간복잡도 = 고정공간 + 가변공)
✅ 알고리즘 성능 측정
- 성능 측정: 컴퓨터가 실제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측정
- 실행 시간의 측정
- 실제로 실행 시간을 시계로 잰다는 것
- 실제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실행 파일)이 있어야 함
- 시스템 시계를 이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