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 상황

로컬과 개발에서 제목이 한글인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404 에러 발생하는데 운영에선 문제가 없음
현재 로컬 WAS는 tomcat이고, 개발은 운영과 동일한 JEUS 사용 중

해결

1) tomcat
-server.xml 파일 내 커넥터 설정에 Engine 탭 내 URIEncoding=“UTF-8”을 추가해주면 됨

2) jeus

설정 파일의 물리적 위치를 몰라서 서버 관리 콘솔 기준으로 설명함

 

경로: Servers>(서버 선택)>Engine>Basic

설정하고자 하는 서버를 선택한 후, Engine 탭 - Basic 탭 화면으로 이동하면 하위에 Encoding 설정하는 부분이 있음!

각 항목마다 두가지 방식으로 설정 가능

  • Default
    • APP에  Encoding 설정이 되어있다면 해당 설정이 우선 적용되고, 설정이 없는 경우는 JEUS 설정을 적용
  • Forced 
    •  APP에 설정된 것과 상관없이 강제로 Encoding JEUS 설정 적용

 

운영 설정을 확인해보니까 Forced에 UTF-8로 적용되어 있길래 개발에도 똑같이 적용하니까

한글 깨짐 없이 다운로드 잘 됨!

728x90

'서버 > JE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US] 제우스 JNDI DataSource 설정  (0) 2024.11.13
728x90


1) 기존 인증서 확인

  • 현재 인증서의 만료일 확인
  • http.m 파일에서 SSL 관련 설정 확인($WEBTOB_HOME/config/..)


2) 새 인증서 발급

3) 인증서 교체

  • 새로운 인증서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
  • 필요시 http.m 파일 내 SSL 관련 설정 수정
*SSL
    SSL1    NAME=ssl1
    ENABLE=Y
    CERTIFICATE_FILE=$WEBTOB_HOME/config/cert.pem
    CERTIFICATE_KEY_FILE=$WEBTOB_HOME/config/key.pem


4) Webtob 재시작

wscfl -i http.m
wsdown
wsboot
  • 설정 파일 수정 시, 반드시 컴파일 실행
  • $WEBTOB_HOME/bin 쉘 스크립트로 재시작


설정에 따라 private key 입력하라고 요구하는데 private key 입력 안 하면 재시작 불가

Enter pass phrase:

 
 



주의사항

  • 인증서 교체 전 반드시 기존 인증서 백업
  • 가능하면 서비스 영향이 적은 시간대에 작업 진행
  • 인증서 체인이 올바른지 확인

 

명령어 분석

wscfl -i http.m
  • wscfl: WebtoB Service ConFiguration Loader의 약자. WebtoB의 설정 파일을 로드하고 컴파일하는 유틸리티.
  • -i: install의 약자로, 컴파일된 설정을 설치(적용)하겠다는 옵션.
  • http.m: WebtoB의 주요 설정 파일. 여기에는 가상호스트, SSL 설정, 포트 설정 등 WebtoB의 핵심 설정들이 들어있음.

 

즉, 이 명령어는 "http.m 파일의 설정을 읽어서 컴파일하고 WebtoB에 적용하겠다"는 의미로 설정 파일을 수정한 후에는 반드시 이 명령어로 컴파일해야 변경사항이 적용됨.
만약 이 명령어 실행 중 에러가 발생한다면, http.m 파일에 문법 오류가 있다는 뜻!

728x90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VMware 설치 및 실행, CentOS 7 설치  (1) 2022.09.11
728x90

JEUS JNDI DataSource 설정

1) 추가할 DB 드라이버를 제우스 공통 라이브러리에 넣고 adminServer 재기동
2)  서버 관리 콘솔 접속
3) Resoureces>DataSource 추가(Connection Test 해보기)
4) Servers >(서버 선택) - 위에서 추가한 데이터 소스를 해당 서버에 추가 설정

Connection Test 시 발생했던 에러

🚨추가한 DB 드라이버를 읽지 못했을 때 발생

ClassNotFoundException: ~MysqlConnectionPoolDataSource

>소스 내 lib 폴더에 드라이버 넣고 서비스만 재기동 했었는데 안 되길래 서버 공통 라이브러리 폴더에 넣고 어드민 재기동하니까 해결됨

🚨방화벽 문제로 발생

jeus.jdbc.datasource.DBDatasourceException: Communication link failure



 


JNDI(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

  • Java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큐, 이메일 서버 같은 외부 자원에 접근할 때 그 자원의 이름만으로 찾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
  • 예를 들어 Java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야 할 때, JNDI를 통해 “MyDB”라는 이름으로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찾아 사용하면 됨. 이로 인해 개발자가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코드에 직접 작성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는 편리해짐!

장점

1. 환경 독립성

  • 외부 자원(데이터 소스, 메시지 큐 등)에 대한 연결 정보를 소스 코드에 하드코딩하지 않고 환경 설정 파일이나 서버 설정에 저장 가능

2. 재사용성

  • 여러 애플리케이션 또는 여러 컴포넌트에사 동일한 설정을 재사용할 수 있음

3. 유지보수성

  • 설정을 중앙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URL이나 자격 증명 같은 자원정보가 변경되더라도 JNDI 설정만 수정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용이

4. 보안 강화

  • JNDI를 통해 자원에 대한 연결 정보를 서버 환경에서 관리할 수 있으므로, 소스 코드 내에 민감한 정보를 하드코딩하지 않아도 됨
  • 서버 내에서 권한 제어를 설정하여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자원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음

 

728x90

'서버 > JE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US] 제우스 Encoding 설정  (0) 2025.02.11
728x90

 

1. 현재 라즈베리파이 ip 주소 확인

무선(wlan0)과 유선(eth0) 주소가 다른데 무선의 경우 wlan0에 inet 주소를 확인!

 

 

2. /etc/dhcpcd.conf 파일 수정

#/etc/dhcpcd.config 파일 수정
sudo vi /etc/dhcpcd.conf

 

interface wlan0

static ip_address="ip주소 입력"

static routers="ip주소의 끝부분만 1로 바꿔서 입력"

 

위 내용을 해당 파일 맨 아래 쪽에 추가해주면 됨

 

 

 

 

3. 재시작

#networking service 재시작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라즈베리파이 재시작
sudo reboot

 

 

 

 

728x90
728x90

1. 라즈베리파이에 들어있던 다양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미리 정해져 있는 레파지토리 또는 저장소 서버로부터 최신 패키지 리스트를 받아옴
sudo apt update

#시스템 업그레이드(패키지의 의존성까지 고려해서 업그레이드 수행)
sudo apt full-updgrade

#설치 후 재부팅
sudo reboot

 

 

 

2. 라즈베리파이 운영체제의 전체적인 설정 변경

Preferences > Raspberry Pi Configuration
-System 탭: 암호 또는 호스트네임 변경, 부팅 후 시작화면 설정
-Performance 탭: GPU 메모리 변경

 

 

 

3. OS 한글 깨짐 해결 방법

#한글 입력을 위한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ibus ibus-hangul

#한글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한글 폰트 설치
sudo apt install fonts-nanum fonts-unfonts-core

#설치 후 재부팅
sudo reboot

 

+ 한글 입력이 안 될 경우

우측 상단의 입력기 아이콘 클릭 후, [한국어-korean] 말고 [한국어-hangul] 로 변경

 

 

 

 

 

https://www.youtube.com/watch?v=nxeFKr63yC4

728x90
728x90

1. 라즈베리파이 4에 anydesk 설치

 

#anydesk 데비안 패키지 다운로드
wget https://download.anydesk.com/rpi/anydesk_6.1.1-1_armhf.deb

#다운로드 받은 패키지 설치
sudo dpkg -i anydesk_6.1.1-1_armhf.deb

 
→ 오류 발생
dpkg: dependency problems prevent configuration of anydesk: armhf:
anydesk: armhf 패키지는 다음 패키지에 의존: libminizip1. 
 
위와 같은 내용의 오류 발생할 때는 추가 패키지를 설치해주고 재설치 진행
 
 

#추가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install libminizip1 libegl1-mesa

→ 오류 발생
이 상황을 바로잡으려면 'apt --fix-broken install'을 실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 패키지의 의존성이 맞지 않습니다: anydesk:armhf : 의존: libminzip1:armhf 하지만 %s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을 것입니다.
 
추가 패키지 설치 중 오류 발생해서 오류 메세지에 있는 명령어(apt --fix-broken install) 실행하고 추가 패키지 재설치 진행
 
 
 
 
 
 

2. anydesk 실행

#anydesk 실행
anydesk

→ 오류 발생
anydesk: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brcmGLESv2.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추가 패키지 설치 및 소프트 링크를 만들어줌
sudo apt-get install libegl1-mesa libegl1-mesa-dev mesa-common-dev libgles2-mesa libgles2-mesa-dev
sudo ln -s /usr/lib/arm-linux-gnueabihf/libGLESv2.so /usr/lib/libbrcmGLESv2.so
sudo ln -s /usr/lib/arm-linux-gnueabihf/libEGL.so /usr/lib/libbrcmEGL.so

추가 패키지 설치 후 재실행
 
 

#추가 설치
sudo dpkg --add-architecture armhf
sudo apt install libpolkit-gobject-1-0:armhf libraspberrypi0:armhf libraspberrypi-dev:armhf libraspberrypi-bin:armhf libgles-dev:armhf libegl-dev:armhf


나같은 경우엔 또 같은 에러가 발생해서 추가로 더 설치함(Raspbian 64 aarch64에 anydesk armhf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거 같음)


설치 후, anydesk 재실행해보니까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원격 접속도 잘 됨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4 Model B에 AnyDesk 설치
https://remnant24c.tistory.com/330
Installing AnyDesk to the Raspberry Pi
https://pimylifeup.com/raspberry-pi-anydesk/
anydesk: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brcmglesv2.so
https://raspberrypi.stackexchange.com/questions/116996/anydesk-error-while-loading-shared-libraries-libbrcmglesv2-so/137566#137566

728x90
728x90

 

  • 가상머신(Virtual Machine)
    • 컴퓨터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
    • 한 대의 물리적 컴퓨터에 가상 컴퓨터 공간을 만들어서 그곳에 새로운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소프트웨어
    • 물리적 컴퓨터 운영체제 => 호스트 운영 체제, 가상머신을 이용해서 그 안에 설치된 운영체제 => 게스트 운영 체제 
    • VMware, Virtual Box, Hyper-v 등

 

 


 

✅ VMware Workstation Player 설치

(VMware는 유료 버전인 Pro와 무료 버전인 Player로 나뉨. 내가 설치하는 건 당연히 Player)

 

 

 

 

 

1. VMware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파일 다운로드

https://customerconnect.vmware.com/en/downloads/info/slug/desktop_end_user_computing/vmware_workstation_player/16_0

 

https://customerconnect.vmware.com/en/downloads/info/slug/desktop_end_user_computing/vmware_workstation_player/16_0

Your browser is not supported on VMware Customer Connect. For the best experience, we recommend using one of these browsers.

customerconnect.vmware.com


🔸다운로드 경로: 사이트맵 → 제품 다운로드 → Desktop & End-User Computing 제품 중에서 VMware Workstation Player GO TO DOWNLOAD → VMware Workstation 16.2.4 Player for Windows 64-bit Operating Systems 다운로드




2. 다운로드 한 VMware 설치 파일 실행

(디폴트 값으로 설치 진행함)



 

3. VMware 실행

 

 

처음 실행하면 위와 같은 팝업이 뜨는데 '비상업적 용도로 사용함'에 체크되어 있을 거임
그대로 Continue 하면 됨

 

 

 

VMware 설치 완료 \^o^/




 

 

 


✅ CentOS 7 다운로드

 



- CentOS 홈페이지 접속해서 CentOS 7 DVD ISO 파일 다운로드

https://www.centos.org/

 

The CentOS Project

DevConf.US Dojo Jun 10, 2022 — CentOS is hosting an in-person Dojo at DevConf.US. The Dojo will take place at Boston University on August 17, the day before the main DevConf talks. The CFP and registration are open. The Dojo is free as always, but regist

www.centos.org

🔸다운로드 경로: 메인페이지에서 CentOS Linux 클릭 → 64비트를 사용하면 x86_64 클릭 → 개인의 국가 위치를 중심으로 다운로드 가능한 사이트가 나열됨

 

 

 

 

나는 카이스트에서 다운로드

 

 

 

 

여기서 64비트 DVD ISO 버전을 선택함

 

→ 준비 완료





✅ VMware에 CentOS 설치

 

 

 

1. 실행한 VMware 화면에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클릭





2. 'operating system을 나중에 설치하겠다' 체크

 






3. 게스트 운영체제(Linux)와 버전(CentOS 7)을 선택

 





4. 가상머신을 생성할 경로 설정

나는 디폴트 경로로 설정함

 





5. 가상 디스크 용량과 저장 방식 설정

체크 박스는 가상 디스크를 단일로 저장하거나 분할로 저장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으로 개인적 용도에 따라 선택하면 됨

나는 단순 실습용으로 사용할거라서 디폴트 값으로 설정함

 






6. 위에서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DVD에 넣기

 

Customize Hardware 클릭
위에서 다운로드한 ISO 파일이 설치된 경로를 잡아줌







7. 가상 머신 실행

 

Play virtual machine 클릭

 

Install CentOS 7 설치

 

한국어 선택

 

✔️ 소프트웨어, 설치 대상,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 (나열 순서대로 설명 진행하겠음)

 

소프트웨어 선택 - 초보자들은 GNOME 데스크탑(GUI) 같은 기능을 설치하지 않으면 적응하기 힘들 수 있으니 설치 권장

 

설치 대상 - 디스크를 선택해줘야 함! 파티션을 나눠서 사용하고 싶으면 파티션 설정란에서 나눠주면 됨

 

네트워크 & 호스트 이름 - 이더넷 연결 '켬'으로 변경. 인터넷 연결 완

 

설치 시작 클릭!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에 ROOT 암호와 사용자 생성을 해주면 됨

 

재부팅 실행

 

재부팅 후, 라이센스 동의를 해야 함! 라이센스 동의 후 [설정 완료] 클릭

 

⭐드디어 나온 로그인 화면⭐



설정 끝난줄 알았지?

응 아냐
언어 설정, 키보드 입력 언어 선택, 위치정보 등의 설정을 다 하고 나면 진짜 끝



728x90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tob] Webtob SSL 인증서 갱신  (0) 2024.12.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