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java -version(JRE 버전 확인)

java version "17.0.4" 2022-07-19 LTS
Java(TM) SE Runtime Environment (build 17.0.4+8)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build 17.0.4+8, mixed mode)


javac -version(JDK 컴파일러 버전 확인)

javac 21.0.4


jre와 jdk 버전이 다른 경우

1) java와 javac가 서로 다른 경로를 가르킴
2) System 폴더에서 java 실행 → 내 경우 이 문제

원인

Windows에서는 C:\Windows\System32 폴더가 PATH에서 우선순위가 높아 java 실행 시 System32 하위 Java가 실행될 수도 있음

where java

→ java 경로 확인

C:\Windows\System32\java.exe
C:\Program Files\Java\jdk-17\bin\java.exe

→ System32 내 java.exe가 먼저 실행되고 있음


해결

실행 상자(windows + R)에 sysdm.cpl 입력하면 시스템 속성창 열림

환경변수창(시스템 속성>고급-환경변수) 열고
시스템 속성란에 설정되어있는 JAVA_HOME, Path 변수 확인

JAVA_HOME 변수에 jdk 경로가 잘 설정 되어 있으면

Path 변수를 확인해서 jdk 경로를 최상위 우선 순위로 설정해주면 됨


728x90
728x90

1. 관리자 권한으로  cmd 실행

2. netstat -a -o 

2-1. 죽이고자 하는 프로세스 pid를 확인

3. taskkill /f /pid ____

 

728x90
728x90

 

📂 host 파일

IP와 도메인 주소를 매핑해주는 파일

 

 

📂 host 파일 경로

C:\Windows\System32\drivers\etc

 

 

📂 host 파일 수정

관리자 권한으로 cmd 실행 후,

1. hosts 파일 경로로 이동

cd C:\Windows\System32\drivers\etc

 

2. hosts 파일 열기

notepad hosts

 

3. 수정

나는 waterparsley.com로 접속하면 네이버로 이동되도록 수정 해볼거임

 

3-1. 우선 ping 명령어를 통해 네이버의 IP 주소를 확인

네이버의 IP 주소는 223.130.195.95임

 

3-2. hosts 파일 수정

[도메인과 매핑될 IP] [IP와 매핑될 도메인]

 

3-3. 확인

watarparsley.com 로 접속하면 네이버로 이동됨

 

 

 

 

728x90
728x90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사용해 할 수 있는 작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이 작업에 대한 권한을 파일(디렉터리)마다 사용자에 따라 지정


작업 사용자
1. 읽기(read)
2. *쓰기(write)
3. 실행(execute)
1. 사용자(user)
2. 그룹(group)
3. 기타(others)
4. 모든 사용자(a=u+g+o)


*파일에 부여되는 쓰기(w) 권한

  • 파일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권한
  • 파일 생성, 삭제, 이동 등에 대한 권한은 파일이 아니라 상위 디렉터리에 쓰기(w) 권한이 부여되어 있어야 함

 

*디렉터리에 부여되는 쓰기(w) 권한

  • 디렉터리 내부에 파일을 생성, 삭제, 이동이 가능한 권한




▪️ls -l

  •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지정된 권한이나 파일 소유자와 그룹을 확인
  • 현재 디렉터리 내 파일 리스트(ls=list)가 하나의 파일 단위로 한 줄로 길게(-l=long) 출력

 

 

  • 첫번째 필드: 사용자 별 권한
 d  r  w  x  r  -  x r  - x
*파일유형 사용자 그룹 기타


*파일 유형

일반 파일 -
디렉터리 d
특수 파일 블록 파일 b
입출력 파일 c
심볼릭 링크 파일 l
파이프 p
소켓 s

 

  • 세번째 필드: 파일 소유자명
  • 네번째 필드: 그룹명




✅ chmod(Change Mode)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모드를 변경(파일이나 디렉터리의 권한 변경)
chmod [옵션] [모드] [파일 및 디렉터]

 

*모드(mode)

  • 사용자(u, g, o, a) 별 권한(r, w, x)에 대한 설정값을 숫자모드와 기호모드로 표현

 

기호모드
사용자 작업 *연산자
u g o a r w x - + - =
숫자모드
  4 2 1    


*연산자

  • 허가권 부여: +
  • 허가권 제거: -
  • 허가권 지정(기존 속성값은 사라짐): =

 

▪️ 옵션

옵션 의미
-R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



✅ 예시

#test.txt 파일에 소유자만 읽기,쓰기 권한이 부여된 상태에서 
#소유자에게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그룹과 기타 사용자에게 쓰기 권한 부여
chmod u+x,go+w test.txt
chmod 722 test.txt

#myDir 디렉터리와 하위 파일과 디렉터리 대상으로 기타 사용자에게 쓰기 권한 부여
chmod -R o+w myDir





728x90
728x90

▪️ ls -l

  •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지정된 권한이나 파일 소유자와 그룹을 확인
  • 현재 디렉터리 내 파일 리스트(ls=list)가 하나의 파일 단위로 한 줄로 길게(-l=long) 출력

 

 

  • 첫번째 필드: 사용자 별 권한
  • 세번째 필드: 파일 소유자명
  • 네번째 필드: 그룹명

 

 

 

 

 


✅ chown(Change Owner)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파일 소유자와 그룹 소유권 변경
chown [옵션] 파일소유자명[:그룹명] [파일 및 디렉터리]





✅ chgrp(Change Group)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그룹 소유권 변경
chgrp [옵션] 그룹명 [파일 및 디렉터리]

 

▪️ 옵션

옵션 의미
-R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

 




✅ 예시

 chown  chgrp
 chown user:user test.txt  
 chown user test.txt  
 chown :user test.txt  chgrp user test.txt
 chown -R :user myHome  chgrp -R user myHome

 

728x90
728x90

✅ tar(Tape Archive)

  • 여러 파일들을 하나로 묶은 것(묶은 파일들이 .tar 안으로 들어가는게 아니라 복사된 파일들이 .tar 로 묶임)
  • 파일들의 속성과 디렉터리 구조 등을 모두 보존하며 묶기 때문에
    1. 압축&압축해제 등의 작업을 거치면서 파일이 변경, 소실될 염려가 없어서 소스 배포 파일을 만드는 용도로 자주 사용
    2. tar 파일 크기가 커짐. 그래서 무조건 압축 기술(gz, bz2..)도 같이 사용 => 한번에 묶고 압축까지!
tar [옵션] [파일] ... 

 

▪️옵션

옵션 의미
-f [tar 파일명] 생성할 tar 파일명(file name) 또는 해제할 tar 파일명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무조건 붙여줘야 함
-c tar 파일 생성(create)
-x tar 파일 해제(extract)
-t tar 파일 속 파일들을 펼쳐서 list 형태로 출력
-v 처리되는 과정(파일 정보)을 자세하게 나열
-r [추가할 파일] 기존 tar 파일에 새로운 파일 추가
-C [PATH] 지정한 경로의 디렉터리로 이동
-j bzip2 압축 적용 옵션(tar.bz2)
-J xz 압축 적용 옵션(tar.xz)
-z gzip 압축 적용 옵션(tar.gz)

 
 

예시

#대상 디렉터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를 tar로 묶기
tar -cvf test.tar [PATH]

#파일을 지정하여 tar로 묶기
tar -cvf test.tar [FILE1] [FILE2]

#현재 디렉터리에 tar 해제
tar -xvf test.tar

#지정된 디렉터리에 tar 해제
tar -xvf test.tar -C [PATH]

#묶여있는 파일 목록 확인
tar -tvf test.tar

#myTest 디렉터리를 tar로 묶고 gz으로 압축
tar -zcvf test.tar.gz myTest

#gzip으로 압축된 tar를 현재 디렉터리에 해제
tar -zxvf test.tar.gz

 

728x90
728x90

(CentOS 7에서 리눅스 명령어 실습하다가 한글 입력이 안 되서 쓰게된 글)

 

 

 

🔸화면 경로 : [시스템 설정] - [설정] - [지역 및 언어] 

 

입력 소스란에 [+] 버튼 클릭

위처럼 입력 소스란에 "한국어"만 추가된 환경일 경우 터미널 등에서 한글 입력이 안 됨

 

 

 

 

 

"입력 소스 추가" 창에서 "한국어"를 찾아 선택하면

위처럼 3종의 한국어가 표시되는데 이 중에서 "한국어 (Hangul)" 항목을 선택하여 추가

 

 

 

 

 

기존에 추가 되어있던 "한국어" 항목 삭제

"한국어 (Hangul)" 항목 선택 후 

톱니바퀴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생성됨

 

 

 

 

 

Hangul toggle key 란에

단축키(Shift+space)를 이용하여 한글 입력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이뜸

 

 

 

 

 

이제 터미널 내에서 shift+space 누르면 한글 입력 가능!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