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AWS(Amazon Web Service)
- 아마존 닷컴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 Amazon Web Service는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가상 컴퓨터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 인터넷을 통해 IT 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온디맨드(On-Demand, 주문형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품이나 서비스가 바로 제공되는 것)로 제공하는 서비스, 종량 과금제 - 클라우드는 쉽게 말해 돈 대신 데이터를 취급하는 은행이다. 은행이 자본주의 시대의 꽃인 돈을 보관하고 빌려주는 서비스라면, 클라우드는 정보화 시대의 꽃인 데이터를 보관하고 인프라스트럭처(서비스 유지를 위한 IT 장비 모음)와 IT 기술을 빌려주는 서비스다. - 클라우드는 대규모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던 기업이 남아도는 자사 인프라와 내부에서 개발된 IT 기술을 비지니스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안됐다는 게 통설이다. 남는 인프라와 IT 기술을 다른 기업에 빌려줘 수익을 얻는다는 아이디어다. 때문에 클라우드는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대규모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ex. 아마존닷컴, 구글, 네이버 등) - 현재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은 AWS, GCP, 애저가 선도하고 있다. |
![]()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클라우드의 가장 기본적인 제공 형태 - 인프라와 IT 기술만 빌려주고, 이를 활용해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은 기업과 기업 내 개발자의 몫 - 보통 서버, 스토리지(저장장치), 네트워크 장비, 서버용 운영체제 등을 빌려주면 인프라 서비스라고 부른다! ✔ PaaS(Platform as a Service) - 인프라 서비스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클라우드 서비스 - 인프라와 IT 기술을 빌려줄 뿐만 아니라 기업이 보다 빠르고 편하게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것 - 일반적으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서버용 운영체제뿐만 아니라 각종 개발도구까지 함께 제공하면 플랫폼 서비스라고 부른다!(플랫폼 서비스라는 이름 자체가 '개발 플랫폼 제공 서비스'의 줄임말) ✔ SaaS(Software as a Service) - 과거 PC나 서버 등에 설치해서 이용해야 했던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 과거에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구매해서 하드웨어(PC)에 설치해야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클라우드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받을 수 있다. 출처: https://www.ajunews.com/view/20200330041313279 |
👉 정적 웹 어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해 이용한 서비스
1. S3
- 인터넷 스토리지 서비스로 용량에 관계 없이 파일을 저장할 수 있고, 웹(HTTP 프로토콜)에서 파일에 접근할 수 있음
-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고 확장성과 데이터 가용성 및 보안과 성능을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 내구성과 보안이 뛰어나고 간편하며 빠른 스토리지 서비스
2. Route53
- DNS(Domain Name Service) 서비스
- Route53을 통해 도메인을 구매하고 호스팅 영역을 생성 및 NS(Name Server) 구축을 통해 DNS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3. ACM(AWS Certificate Manager)
- AWS 서비스 및 연결된 내부 리소스에 사용할 공인 및 사설 SSL/TLS(Secure Socket Layer/전송 계층 보안) 인증서를 손쉽게 관리 및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 SSL/TLS 인증서 : 네트워크 통신을 보호하고 웹 사이트의 자격 증명을 위해 사용되는데, 쉽게 말해서 내 도메인에 HTTPS를 적용할 때 필요한 인증서
- ACM을 이용하여 인증서를 받은 후 Elastic Load Balancer, Amazon CloudFront 배포, API Gateway 기반 API와 같은 AWS 리소스에 배포할 수 있다.
4. Cloud front
- CDN 서비스
-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 콘텐츠 제공자와 사용자 간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환경에서 콘텐츠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
- 전 세계에 분포된 엣지 로케이션이라고 하는 데이터 센터의 엣지 서버를 사용해 콘텐츠를 캐싱하고,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가장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에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 SSL 인증서를 이용한 HTTPS 호스팅을 지원
728x90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Microsoft Azure에서 가상 머신 생성/접속하기 (0) | 2022.09.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