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tar(Tape Archive)
- 여러 파일들을 하나로 묶은 것(묶은 파일들이 .tar 안으로 들어가는게 아니라 복사된 파일들이 .tar 로 묶임)
- 파일들의 속성과 디렉터리 구조 등을 모두 보존하며 묶기 때문에
- 압축&압축해제 등의 작업을 거치면서 파일이 변경, 소실될 염려가 없어서 소스 배포 파일을 만드는 용도로 자주 사용
- tar 파일 크기가 커짐. 그래서 무조건 압축 기술(gz, bz2..)도 같이 사용 => 한번에 묶고 압축까지!
tar [옵션] [파일] ...
▪️옵션
옵션 | 의미 |
-f [tar 파일명] | 생성할 tar 파일명(file name) 또는 해제할 tar 파일명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무조건 붙여줘야 함 |
-c | tar 파일 생성(create) |
-x | tar 파일 해제(extract) |
-t | tar 파일 속 파일들을 펼쳐서 list 형태로 출력 |
-v | 처리되는 과정(파일 정보)을 자세하게 나열 |
-r [추가할 파일] | 기존 tar 파일에 새로운 파일 추가 |
-C [PATH] | 지정한 경로의 디렉터리로 이동 |
-j | bzip2 압축 적용 옵션(tar.bz2) |
-J | xz 압축 적용 옵션(tar.xz) |
-z | gzip 압축 적용 옵션(tar.gz) |
✅ 예시
#대상 디렉터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를 tar로 묶기
tar -cvf test.tar [PATH]
#파일을 지정하여 tar로 묶기
tar -cvf test.tar [FILE1] [FILE2]
#현재 디렉터리에 tar 해제
tar -xvf test.tar
#지정된 디렉터리에 tar 해제
tar -xvf test.tar -C [PATH]
#묶여있는 파일 목록 확인
tar -tvf test.tar
#myTest 디렉터리를 tar로 묶고 gz으로 압축
tar -zcvf test.tar.gz myTest
#gzip으로 압축된 tar를 현재 디렉터리에 해제
tar -zxvf test.tar.gz
728x90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윈도우에서 특정 프로세스 죽이기 (0) | 2023.08.23 |
---|---|
[Windows] hosts 파일 경로 및 파일 수정 (0) | 2023.07.13 |
[Linux] 리눅스 chmod(디렉터리, 파일 권한 설정) (0) | 2023.03.09 |
[Linux] 리눅스 chown, chgrp(소유권 변경) (0) | 2023.03.09 |
[CentOS 7] 터미널에서 한글 입력 안 될 때 설정 방법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