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현재 2개월마다 체험판 라이센스를 받아 사용하고 있는데 정상적인 키를 입력해도 인증 오류가 발생함

이럴 때마다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regedit


2. 아래 경로의 폴더 삭제

\HKEY_CURRENT_USER\SOFTWARE\AppDataLow\Software\nexacro\nexacrostudio


3. 넥사크로 스튜디오 재실행(상황에 따라 라이선스 재입력창이 나오거나 그냥 넘어가거나 함)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현재 내 로컬에 설정된 자바 버전은 1.8인데 

 

스프링부트 3.x.x 버전을 실행하고 싶을 때

 

 

 

1.  Gradle JVM 변경

ctrl+alt+s

File > SettingsBuild, Execution, DeploymentBuild ToolsGradle 

 

 

 

2.  Project SDK 변경

ctrl+alt+shit+s

FileProject Structure.. >  Project Stettings > Project

 

 

 

 

위와 같이 설정을 하면 정상적으로 빌드됨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서버기동
    • Run: Ctrl+F11
    • Restart: Ctrl+Alt+R
  • 디버그
    • Debug: F11
    • Step Into: F5
    • Step Over: F6
    • Step Return: F7
    • next breakpoint: F8
    • Terminate Debug Mode: Ctrl+F2
  • 검색
    • 파일명 검색: Ctrl+Shift+R
    • 내용 검색: Ctrl+H
  • 기타
    • 불필요한 import 정리: Ctrl+Shift+O
    • 하단 뷰 영역 이동: Ctrl+F7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기존 인증서 확인

  • 현재 인증서의 만료일 확인
  • http.m 파일에서 SSL 관련 설정 확인($WEBTOB_HOME/config/..)


2) 새 인증서 발급

3) 인증서 교체

  • 새로운 인증서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
  • 필요시 http.m 파일 내 SSL 관련 설정 수정
*SSL
    SSL1    NAME=ssl1
    ENABLE=Y
    CERTIFICATE_FILE=$WEBTOB_HOME/config/cert.pem
    CERTIFICATE_KEY_FILE=$WEBTOB_HOME/config/key.pem


4) Webtob 재시작

wscfl -i http.m
wsdown
wsboot
  • 설정 파일 수정 시, 반드시 컴파일 실행
  • $WEBTOB_HOME/bin 쉘 스크립트로 재시작


설정에 따라 private key 입력하라고 요구하는데 private key 입력 안 하면 재시작 불가

Enter pass phrase:

 
 



주의사항

  • 인증서 교체 전 반드시 기존 인증서 백업
  • 가능하면 서비스 영향이 적은 시간대에 작업 진행
  • 인증서 체인이 올바른지 확인

 

명령어 분석

wscfl -i http.m
  • wscfl: WebtoB Service ConFiguration Loader의 약자. WebtoB의 설정 파일을 로드하고 컴파일하는 유틸리티.
  • -i: install의 약자로, 컴파일된 설정을 설치(적용)하겠다는 옵션.
  • http.m: WebtoB의 주요 설정 파일. 여기에는 가상호스트, SSL 설정, 포트 설정 등 WebtoB의 핵심 설정들이 들어있음.

 

즉, 이 명령어는 "http.m 파일의 설정을 읽어서 컴파일하고 WebtoB에 적용하겠다"는 의미로 설정 파일을 수정한 후에는 반드시 이 명령어로 컴파일해야 변경사항이 적용됨.
만약 이 명령어 실행 중 에러가 발생한다면, http.m 파일에 문법 오류가 있다는 뜻!

728x90
반응형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VMware 설치 및 실행, CentOS 7 설치  (1) 2022.09.11
728x90
반응형

JEUS JNDI DataSource 설정

1) 추가할 DB 드라이버를 제우스 공통 라이브러리에 넣고 adminServer 재기동
2)  서버 관리 콘솔 접속
3) Resoureces>DataSource 추가(Connection Test 해보기)
4) Servers >(서버 선택) - 위에서 추가한 데이터 소스를 해당 서버에 추가 설정

Connection Test 시 발생했던 에러

🚨추가한 DB 드라이버를 읽지 못했을 때 발생

ClassNotFoundException: ~MysqlConnectionPoolDataSource

>소스 내 lib 폴더에 드라이버 넣고 서비스만 재기동 했었는데 안 되길래 서버 공통 라이브러리 폴더에 넣고 어드민 재기동하니까 해결됨

🚨방화벽 문제로 발생

jeus.jdbc.datasource.DBDatasourceException: Communication link failure



 


JNDI(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

  • Java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큐, 이메일 서버 같은 외부 자원에 접근할 때 그 자원의 이름만으로 찾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
  • 예를 들어 Java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야 할 때, JNDI를 통해 “MyDB”라는 이름으로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찾아 사용하면 됨. 이로 인해 개발자가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코드에 직접 작성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는 편리해짐!

장점

1. 환경 독립성

  • 외부 자원(데이터 소스, 메시지 큐 등)에 대한 연결 정보를 소스 코드에 하드코딩하지 않고 환경 설정 파일이나 서버 설정에 저장 가능

2. 재사용성

  • 여러 애플리케이션 또는 여러 컴포넌트에사 동일한 설정을 재사용할 수 있음

3. 유지보수성

  • 설정을 중앙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URL이나 자격 증명 같은 자원정보가 변경되더라도 JNDI 설정만 수정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용이

4. 보안 강화

  • JNDI를 통해 자원에 대한 연결 정보를 서버 환경에서 관리할 수 있으므로, 소스 코드 내에 민감한 정보를 하드코딩하지 않아도 됨
  • 서버 내에서 권한 제어를 설정하여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자원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음

 

728x90
반응형

'서버 > JE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US] 제우스 Encoding 설정  (0) 2025.02.11
728x90
반응형

 

넥사크로 스튜디오 Explorer

  • Project Explorer: 작업 중인 프로젝트의 구성요소 확인
  • Resource Explorer: 작업 중인 프로젝트의 리소스(이미지, 테마, css 등)을 확인

 


Resource Explorer

NexacroTheme

  • 넥사크로 스튜디오 설치 시 기본으로 제공되는 테마
    압축형태로 제공되며 삭제 불가
  • 해당 파일은 수정 할 수 없지만 theme 하위에 복사본을 생성해서 수정 적용 가능


Theme

  • 프로젝트 내에 추가로 사용하는 xcss는 보통 여기 있음. xcss파일을 수정하면 ../_resource_/_theme_/ 하위에 있는 브라우저별 css 파일도 자동으로 generate

 


컴포넌트에 CSS 적용

  • 컴포넌트 속성 중 cssclass에 .XCSS에 정의된 classname을 설정


조건에 따라 CSS 변경

  • 보통 컴포넌트의 style 속성은 expr이 안 먹히는 경우가 많아서 cssclass 속성에 expr을 사용해서 처리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내가 구현하고 싶은 그리드 형태

 

바인드한 데이터셋 구조

 


 

  • 그리드 내 셀을 트리 형태로 바꾸기
    1. 트리 구조로 데이터를 보여주고 싶은 컬럼의 셀을 선택
    2. Action>displaytype: treeitemcontr
    3. Action>edittype: tree
    4. CellTreeItem>treelevel: 바인드한 데이터셋 중 레벨 값으로 사용할 컬럼ID 설정

 

  • 트리 상태 값 설정
    • CellTreeItem>treestatus
속성값설명
0 트리가 닫힌 상태
1 트리가 열린 상태
3 트리가 단말(leaf) 상태

 

  • 최초 로드 시, 트리 상태 설정
    • 그리드 선택>CellTreeItem>treeinitstatus
속성값설명
expand, all 모든 트리가 열린 상태로 로딩
collapse, all 모든 트리가 닫힌 상태로 로딩

 

  • 트리 내 체크박스 없애기
    • 그리드 선택>CellTreeItem>treeusecheckbox: false

 셀 클릭으로 트리 상태를 제어하는데 버튼도 보여줄 경우엔 edittype을 none으로 변경

//셀 클릭 시, 트리 열고 닫기
this.grid_oncellclick = function(obj:nexacro.Grid, e:nexacro.GricdClickEventInfo) {

    var gridRow = this.grid.getTreeRow(e.row);
    var treeStatus = this.grid.getTreeStatus(gridRow); 
    
    if(treeStatus == 3) return;
    treeStatus = (treeStatus == 0 ? 1 : 0);
    
    this.grid.setTreeStatus(gridRow, treeStatus);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스프링부트 테스트 코드를 실행했는데 에러가 발생했다
 
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required a single bean, but 2 were found ...
해당 생성자의 파라미터에는 단일 bean이 필요한데 2개가 발견됐다
- AppConfig의 memberRepository

-MemoryMemberRepository의 memoryMemberRepository
 
 
에러 내용을 더 확인해보자

  1.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memberServiceImpl' defined in file [~\classes\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2.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세번째 같은 말을 하고 있다
 
 
 
 
확인 결과, 같은 타입인데 이름이 다른 두개의 빈이 있었다
두둥탁

 
수동 빈 생성
 

 
자동 빈 생성
 
 
 
그래서 나는 @Primary로 조회할 빈에 우선순위를 부여해줬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다가 @Autowired에 에러 표시가 떴다

Autowired members must be defined in valid Spring bean (@Component|@Service|...) 

해당 내용은 의존관계 자동 주입을 받기 위해선 현재 클래스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된다는 내용으로 해석된다
그치만 테스트 코드에는 TestBean 클래스가 컨테이너에 빈으로 등록이 되어있는데..? 뭐지?


여기저기 뒤져본 결과, 테스트 코드 내에서 컨테이너를 직접 만들어서 IDE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 같다
해당 경고가 거슬린다면 코드창 우측 상단에 있는 아이콘에 커서를 갖다대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데 Highlight를 All Problems에서 Syntax로 변경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글자 바꾸기

  • ctrl+H: 특정 문자를 드래그한 뒤, 단축키를 누르면 파일 내 동일한 문자를 다른 문자로 치환할 수 있음
  • ctrl+D: 특정 문자를 드래그한 뒤, 해당 단축키를 누르면 파일 내에 동일한 문자를 가진 문자들이 선택됨


2. 단축키 설정(자동 정렬, 들여쓰기)

Preference > Key Bindings - User 창에서 설정

[
{ "keys": ["ctrl+shift+f"], "command": "reindent" , "args": { "single_line": false } }
]


3. 다중 커서: ctrl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원하는 라인을 클릭하거나 방향키로 조절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